카시와기 요시키 썸네일형 리스트형 [데벨챌] 3주 - 데이터문해력 4장~끝 일기 | 말같은 시야를 가진 사람이 될테야 일정 1주차 - 1장.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 분석보다 활용 2장.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 2주차 - 3장. '이것이 문제다' 데이터로 말하는 힘 3주차 - 4장. 결과가 나왔다고 끝난 것은 아니다 5장. 기법에 집착하지 마라 4주차 - 온라인 회고 모임 제가 데이터 문해력 다 읽은 사람처럼 보이시나요? 그렇습니다 데이터 문해 능력자처럼 보이시나요? 한번 봅시다 말은 시야각이 350도라고 한다 데이터 분석할 때 그런 시야를 가지고 싶은 사람 나야나 4,5장 읽기였지만 멈추지 못하고 끝까지 다 읽어서 전체적인 리뷰를 하려고 한다ㅎㅎ 읽으면서 가장 공감됐던 내용은 '방법맨'이 되지 말라는 것이다 문제 파악 → 바아로 방법 제시로 가는 게 쉬운데 데이터로 실제 원인을 파악하고.. 더보기 [데벨챌] 2주 - 데이터문해력 3장 일기 | 이것이 문제다 일정 1주차 - 1장.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 분석보다 활용 2장.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 2주차 - 3장. '이것이 문제다' 데이터로 말하는 힘 3주차 - 4장. 결과가 나왔다고 끝난 것은 아니다 5장. 기법에 집착하지 마라 4주차 - 온라인 회고 모임 통계전공이 아닌 내가 대학 때부터 비슷한 내용으로 반복되는 통계 수업을 들으면서 '그래서 대체 어떻게 쓴다는 거야' 라는 생각을 했었다 대부분의 수업은 평균부터 시작해서, 편차, 표준편차, 정규분포 등등 개념이 뭔지만 설명하고, 수학문제 푸는 시험을 치고 끝났다 그래서 대체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해서 쓴다는 건지, 그 개념이 어디에 어느 과정에서 쓰인다는 건지에 대한 궁금증이 있었다 차라리 처음부터 하나의 예시를 가지고 .. 더보기 [데벨챌] 1주 - 데이터문해력 1, 2장 일기 | 어떻게 알았지 일정 1주차 - 1장. 앞으로 필요한 건 데이터 문해력 : 분석보다 활용 2장. 올바른 데이터로 올바른 문제를 풀고 있는가? 2주차 - 3장. '이것이 문제다' 데이터로 말하는 힘 3주차 - 4장. 결과가 나왔다고 끝난 것은 아니다 5장. 기법에 집착하지 마라 4주차 - 온라인 회고 모임 데이터넥스트레벨 챌린지 그것을 아십니까 데이터 분석을 넥스트 레벨의 궤도에 올리기 위한 챌린지로 딱 나한테 필요한 챌린지다 한 달 동안 한 책을 읽고 최종적으로 대상 책에 대한 의견 공유를 한다 안그래도 이런 분야의 책을 읽고 의견을 나누는 모임을 찾기가 어려웠는데 너무 좋은 기회라 참여하게 됐다 이번 데벨챌 대상 도서는 바로 ▶ 데이터 문해력 ◀ 빅데이터 시대, 성과를 이끌어 내는 데이터 문해력 데이터에서 찾아낸 인사.. 더보기 이전 1 다음